권프로의순간😄생각노트2266권😄
독점의 기술-밀렌드.M레레저서
경쟁하면 치킨런 게임 장기적으로 망한다.
경쟁하지 말고 합작하던 인수합병해라.
시장에 규모에 2등의 존재는 시장영향력확대에 긍정적이다.
최초로 고객들에게 포지셔닝하거나 최대조직으로 이끌던가 맥킨지같은 유능한 인재에 최고조직을 창출해라.
조직을 잘게 나눠서 아메바나 바퀴벌레처럼 생존력을 지니게 만들어라.
리더에게 권한과 책임을 동시에 지게 만들어라.
리더는 사랑받는 존재가 아닌 불편한 존재 때론 무서운 존재가 되는것이 훨씬 조직을 흥하게 만든다.
사랑받고 싶은 욕망을 자제해라.
리더에 선택이 10년 혹은 100년 기업을 만들고 잘못된 판단이 올해안에 망하는 기업을 만들기도한다.
성공하는 기업은 경쟁하지 않고 수익을 낸다
경제학 원론에서는 독점을 부자연스러운 것, 불법적인 것, 보기 드문 것이라고 가르치는 경향이 있다.
미국에는 독과점 금지법이 있고 한국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시장을 조율한다.
공정위에서 조정할정도에 규모는 때론 감사한 기업 조건이다.
사실 독점은 아주 자연스럽고, 합법적이며 우리 주위에서 흔히 만날 수 있다. 극장에서 파는 콜라와 밖에서 파는 콜라는 같은 상품임에도 3배의 가격 차이가 난다.
영화를 볼 때 먹을 음료나 먹을거리는 보통 극장 안에서만 구입하게 되어 있다. 그렇기에 경영진은 이 독점적 지위에 걸맞는 높은 가격을 책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식의 독점은 도처에 있다.
대다수의 사람은 ‘독점’이라는 단어를 들을 때 대규모 전화 시스템, 전기 공사, 철도 등 거대 공기업만을 떠올린다.
시장이 작을수록 독점하던가 시장영향력확대를 위해서 2등업체만 살려두어야한다.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시장을 발견하고, 그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많은 기업들이 스스로 독점적 지위를 만들어 지속적인 성공과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우리는 독점 기업들의 공통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관점과 통찰력을 얻어 시장을 지배하는 기업들의 생각에 다가가게 될 것이다. 사업가라면 독점 전략을 배워 실제로 활용할 수 있고, 투자가라면 지속되는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을 찾아내는 눈을 가질 수 있다.
모든 회사는 어떤 형태로든 독점을 보유해야 한다.
모든 기업의 목표는 바로 높은 매출이다. 기업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매출을 만들 수 있을지 전략을 세우고, 홍보 마케팅에 고심한다. 하지만 독점의 기술은 매출에만 몰두하는 기업에 경종을 울리며 먼저 시작해야 하는 것은 독점의 지위를 알고, 차지하는 것이라 말한다.
우리에 독점적 지위는 무엇인가?
기업문화?최대조직?유능한리더?브랜드포지셔닝?
최초기술력?최고를지향하는정신?항상 고민하는 주제이다.
우리에 독점적 지위는 처음은 기업문화와 배움을 추구하는 최고가 될수있는 소프트웨어공급에 최대조직을 추구하는것이다.
#고민 #매일공부해야하는이유 #기술 #중심 #독점 #문화 #리더 #기업에미래 #10년후고민 #10년후사업
728x90
반응형
반응형